본문 바로가기
정보

동지 일 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by 일상의우아함 2023. 12. 22.

동지 冬至

24절 후의 스물두 번째 절기를 뜻하는 동지는 일 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음력 11월인 겨울이고, 양력으로는 12월 22~23일 경이됩니다. 2023년 동지는 12월 22일입니다. 

 

 정의

동지는 한국의 전통적인 절기 중 하나로, 겨울철인 12월 22일 또는 23일 경에 위치합니다. 동지는 한자로 '동이 지나다'라는 뜻으로, 태양의 진입 경도가 270도인 날로서, 해가 제일 낮게 떠오르는 날이기도 합니다.

 

한 해의 마지막 계절인 동지 날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 20일과 그 이후 20일까지를 포함한 총 41일 동안은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날씨가 찾아오는 시기로, 한파가 찾아오기도 합니다. 동지는 한국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절기로 여겨지며 다양한 전통음식과 관련된 풍습이 있습니다. 

 

 

동지의 관례와 풍속

 

 궁중풍속

궁중에서는 동지를 중요한 축일로 여겨, 군신과 왕세자 등이 모여 잔치를 베풀었습니다.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보내 동지를 축하하며, 지방의 관원들도 임금에게 전하는 특별한 글을 통해 축하의 뜻을 전했습니다. 궁중에서는 또한 동지에 맞춰 새해 달력을 만들어 궁에 바쳐, 중요한 식목일인 단오에는 부채를 주고받는 등 풍속을 지키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민간풍속

민간에서는 동짓날에는 얼음이 갈라진 모습이 마치 밭을 갈아놓은 것처럼 보이는데, 이를 '용갈이'라고 합니다. 이 날의 기상은 농사일을 징험 하는 기준으로 여겼으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언덕 가까운 쪽으로 얼음이 간 흔적은 풍년의 예감으로 여겼습니다.

 

 속신과 주술

동지에는 뱀자를 이용한 속신이 있어 악귀를 막기 위해 뱀 '사(蛇)'자를 거꾸로 붙여 사용했습니다. 또한, 동짓날 팥죽을 쑤어먹지 않으면 늙게 되고, 잡귀가 생긴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동지가 추울수록 풍년이 될 것이라고 여겼으며, 동짓날이 추우면 해충이 적어지고 호랑이가 많다는 전통적인 믿음이 이어져왔습니다.

 

 

동지팥죽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습니다. 팥은 끓여 죽을 만들고,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이는데, 이 죽의 알갱이는 새알만 한 크기로 '새알심'이라고 불립니다.

 

 동지 팥죽과 제사

동지 팥죽을 만들 때, 먼저 이를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冬至告祀)를 지냅니다. 이후 각 방, 장독, 헛간 등 집 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으면 가족이 모여 함께 팥죽을 먹습니다. 사당에 올리는 것은 천신의 뜻, 집 안에 놓는 것은 축귀의 뜻으로, 집 안의 모든 악귀를 쫓아낸다고 믿어지고 있습니다.

 

 팥의 미신적인 색채

팥의 붉은 색은 양색(陽色)이며, 이것이 음귀를 쫓는 데 효과적이라고 믿었습니다. 옛날부터 붉은팥은 악귀의 힘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모든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공공씨에게는 바보 아들이 있었는데 동짓날에 죽어 악귀가 되었고, 붉은 팥죽을 만들어 그를 물리쳤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동지에는 미신적인 신앙과 주술적인 행위가 뒤섞여 있습니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벽이나 문 근처에 뿌리는 것은 악귀를 쫓기 위한 주술의 일환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동짓날이라 할지라도 음력 11월 10일 안에 들면 아이들에게 해가 될 것이라고 여겨 '애동지'로 불리며 팥죽을 만들지 않습니다. 또한 집안에 이상한 병으로 죽은 사람이 있어도 붉은 팥죽은 먹지 않습니다.

 

 지역특색과 풍습

경기도에서는 사당에서 팥죽으로 제사를 지낸 뒤, 방이나 바닥, 장광 등에 한 그릇을 놓고 가족이 모여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경상도에서는 동지에 붉은 팥죽을 솔가지 적셔 집 앞 문, 벽, 마당, 마을 입구의 큰 나무까지 뿌리는데, 이는 마을에 잡귀가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의식입니다. 강원도에서는 새알심이나 찹쌀이나 수수쌀로 만든 '옹심'을 팥죽에 넣어 나이 수대로 먹었습니다. 이 날 일꾼들은 아홉 그릇의 팥죽을 먹고 아홉 짐을 짊어져야 한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건강과 미신의 조화

독감이 유행할 때 우물에 붉은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누군가 죽으면 붉은 팥죽을 만들어 상가(喪家)에 보내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상가의 악귀를 쫓기 위한 것이다. 붉은 팥죽은 동지뿐만 아니라 이웃이 상을 당하였을 때 쑤어 부조하기도 했습니다.

 

 전통의 유산

조상들은 좋은 일이 있을때나 재앙이 있을 때, 팥죽, 팥밥, 팥떡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 이러한 풍습은 오늘날에도 이어지며, 사업이 번창하길 기원하는 사업자들과, 사고 없이 공사를 완료하기를 기원하는 공사 종사자들에게 의미가 있습니다. 붉은팥이 들어간 음식이 소원을 이루어준다고 믿어져 왔지만, 이것이 사실여부와 상관없이 붉은팥은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지니고 있어 건강식품임은 틀림없습니다. 붉은팥은 붓고 열이 나고 따끔한 피부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며, 유방에서의 분비 촉진, 설사, 발열, 질병, 베리베리, 종기, 흉터, 임신 중 후기 통증, 물기, 진통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